블랙컴뱃

본문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RULES
2025.04.04 최종 수정

제 1 조 대회사 공식 명칭

본 대회사의 명칭은 Black Combat Begins 으로 한다.

제 2 조 체급

<남성부>
(1) 56.7kg 이하 : 플라이급 (Flyweight Division)
(2) 56.8kg 이상 ~ 61.3kg 이하 : 밴텀급 (Bantamweight Division)
(3) 61.4kg 이상 ~ 65.8kg 이하 : 페더급 (Featherweight Division)
(4) 65.9kg 이상 ~ 70.4kg 이하 : 라이트급 (Lightweight Division)
(5) 70.5kg 이상 ~ 77.1kg 이하 : 웰터급 (Welterweight Division)
(6) 77.2kg 이상 ~ 84kg 이하 : 미들급 (Middleweight Division)
(7) 84.1kg 이상 ~ 100kg 이하 : 중량급 (Heavyweight Division)
(8) 120kg 이하 : 헤비급 (Heavyweight Division)
* 허용 오차 +/- 500g 까지

<여성부>
(1) 48kg 이하 : 아톰급 (Atomweight Division)

본 대회사가 주최하는 대회에 참가하는 모든 선수들은 대회 당일 계체 시간까지 반드시 대회장에 도착해야 한다.
해당 대회의 선수가 부상이나 기타 사유 등으로 인해 사전에 안내된 경기를 진행하지 못할 시 대회사가 정한 매치업에 대한 결정을 따라야 한다.

- 본 대회사가 공식적으로 지정한 체급 이외의 경기는 대회사가 지정해주는 체중을 한계체중으로 진행한다.
- 계체량 시작 시간은 본 대회사가 지정하며 지정된 계체량 시작시간 기준으로 30분 이상 지각하는 선수는 대회사와 심판위원회가 주는 패널티를 받아야 한다.
- 공식 계체량은 대회사가 지정한 시각에 진행되며 해당 선수가 1차 계측에 실패할 시, 심판위원회가 정해주는 시간(30분) 안에 2차 계측을 하여 통과해야 한다.
- 공식 계체량 때는 해당 경기에 참가하는 모든 선수들과 대회사측 인원, 주심 최소 1명 이상이 모두 참여해야 한다.
- 본 대회사가 진행하는 대회의 경기에 참가하는 모든 선수들은 정해진 룰에 따라 계측 및 통과해야 한다.
- 계측을 통과하지 못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은 패널티를 받게 된다.
(1) 해당 선수가 1차 계측을 실패할 시 심판이 정한 시간 내에 2차 계체가 이뤄진다.
(2) 해당 선수가 2차 계측 또한 실패할 시 초과 체중 기준에 따른 페널티가 적용 된다.
- 1kg 미만으로 초과할 경우 : R당 -1
- 1kg 이상 ~2kg 미만으로 초과할 경우 : R당 -2
- 2kg 초과시 :
① 상대 선수가 경기를 희망할 때 : 전체 R별 -2
② 상대 선수가 경기를 희망하지 않을 때 : 실격 패

제 3 조 경기 장비

- 해당 대회에 참가하는 출전 선수들은 본 대회사가 제공하는 공식 지브라 MMA용 스파링 글러브와 신가드를 사용한다.
­- 아마추어 경기는 헤드기어를 착용해야 하며, 상대 선수와 협의 하에 헤드기어를 벗고 경기할 수 있다. 단, 한 선수라도 착용을 희망할 경우 반드시 양 선수 모두 착용해야 한다.
- 스파링 글러브와 신가드 및 헤드기어는 경기 시작 전에 선수 대기 공간에서 착용한다.
- 심판은 지정된 공간에서 선수들에게 글러브와 신가드 및 헤드기어를 착용시켜야 한다. 착용 후, 손목 테이핑 접합부분에 심판이 감아주는 테이핑을 해야 한다.
- 선수는 경기 시작 전 공간에서 심판에게 검사를 받고 케이지에 올라가기 전에 2차 체크를 받아야 한다.
- 선수는 경기가 끝나기 전까지 글러브와 신가드 및 헤드기어를 해체 및 제거할 수 없다.
- 선수는 경기가 끝나면 경기 글러브와 신가드 및 헤드기어를 대회사에 반납해야만 한다.
- 선수들은 대회사가 지정, 지급, 허용하는 테이프를 사용해야 하며 거즈는 필요시 개인이 구입 후 사용한다.
- 다른 방법을 사용한 주먹 고정, 혹은 주먹 고정을 위한 보형물 삽입은 금지하며 테이핑 이후 정권 뼈 부위가 반드시 만져져야 한다.
- 경기에 참가하는 모든 선수들은 반드시 개인 마우스피스, 개인 파울컵을 착용해야만 한다.
- 마우스피스와 파울컵을 착용하지 않은 선수들은 경기를 참가하지 못한다.
- 경기를 참가하는 선수들은 머리카락에 그 무엇도 바를 수 없다. (왁스, 헤어젤, 헤어스프레이, 오일 등)
- 바셀린 도포는 부상 방지용이며 심판이 시작 직전에 직접 도포한다. 해당 선수 세컨진이나 다른 사람들이 도포해서는 안된다.
- 경기에 참가하는 선수 및 세컨진은 다른 종류의 도포제, 호흡기 관련 약제류 등을 가지고 경기장에 입장할 수 없다.
- 경기 도중 바셀린 도포는 대회 링닥터 및 심판이 원활한 경기 진행 및 응급처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 하드 콘택트 렌즈 사용은 금지한다. 경기 전에 심판진이 해당 선수 콘택트 렌즈 사용 여부를 검사한다.
- 소프트 콘택트 렌즈는 사용이 가능하나, 이로 인해 경기에서 발생한 선수의 부상, 사고에 대해서는 대회사가 책임을 지지 않는다.


제 4 조 경기 시간 / 경기 유니폼

- 출전 선수는 심판위원회가 안내한 시간 (룰미팅, 계체 시간 등)을 엄수해야 한다. 이를 위반할 시 대회사와 심판위원회가 주는 패널티를 받아야 한다.
- 모든 경기는 3 분 2 라운드(아마추어)와 3분 3라운드(세미프로)로 진행 된다. 경기 사이 쉬는 시간은 아마추어는 30초 세미프로는 1분으로 진행된다.
- 모든 경기는 3심제 배심으로 진행한다.
- 경기가 선수에 의해 승패결정이 되지 않을 경우, 배심의 판정으로 승패 혹은 무승부가 결정된다.
- 비긴즈 대회는 연장전 판정을 내리지 않는다.
- 출전 선수는 대회사가 허용하는 범위 내의 티셔츠 및 파이트 쇼츠를 지참해야 하며, 물, 수건, 핸드랩, 마우스피스 모두 개인 지참해야 한다.
- 출전 선수는 대회사의 공식 파이트 쇼츠 (트렁크)나 반바지 유니폼을 착용해야 한다. 단, 타 대회사 로고나 이미지가 박힌 유니폼은 착용할 수 없다.
- 파이트 쇼츠안에 파울컵, 타이즈 외에는 착용이 불가능하다.


제 5 조 허용 가능 기술

- 아마추어 대회는 하체관절기 기술 중에서 아킬레스 홀드만 가능하며, 그 외 모든 하체관절기 기술은 금지
- 세미프로 대회는 힐훅을 제외한 모든 하체관절기 기술 사용 가능
- 서브미션 캐치만 나와도 탭 없이 레프리 스탑 가능
- 업킥 사용은 바디 공격까지만 가능

제 6 조 반칙

블랙컴뱃 비긴즈 대회는 다음과 같은 공격들 및 상황을 반칙으로 간주한다.
- 안면 니킥, 엘보, 싸커킥, 3점 및 4점니킥, 수플렉스, 파일 드라이브, 모든 종류의 슬램 기술 금지
(이하는 프로 룰과 동일)
- 낭심 공격, 눈 찌르기, 머리카락 잡아당기기, 꼬집기, 살 할퀴기, 박치기, 깨물기, 핥기, 목 타격, 후두부에서 꼬리뼈까지의 타격, 오블리 킥, 수직 엘보우 공격, 상대 선수를 들어서 머리를 바닥에 내리 꽂는 공격, 상대에게 침 뱉기, 손톱, 발톱을 이용한 공격
- 주심이 경기를 중단했는데도 공격할 경우
- 라운드 종료 벨이 울렸음에도 공격할 경우, 라운드 사이 쉬는 시간에 공격할 경우
- 상대 선수의 콧구멍, 입 등 안면부위를 손을 사용해서 찢기, 당기는 경우
- 주심의 지시를 고의적으로 어기고 공격할 경우
- 손가락, 발가락 관절 꺾기
- 부상이 없음에도 거짓으로 부상을 연기하거나 주장할 경우
- 주심과 대화하고 있는 선수를 공격할 경우
- 경기 진행을 의도적으로, 고의적으로 지연, 방해하는 경우
- 선수들의 세컨진이 경기 진행을 의도적으로 방해할 경우 혹은 주심이 그렇다고 판단한 경우
- 고의적으로 케이지를 손이나 발로 잡는 경우
- 상대 선수를 의도적으로 다치게 하는 경우
- 상대 선수의 파이트 쇼츠 및 글러브 안에 손가락을 넣는 경우
- 상대 선수 글러브 구멍에 손가락을 끼워 넣거나 구멍에 손가락을 넣어 붙잡는 경우 (단, 상대 글러브를 손바닥으로 잡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
- 상대 선수의 부상당한 부위를 고의적으로 찌르거나 비비는 경우
- 선수가 고의적으로 무기력한 고착 상태를 유지하거나 유발하는 경우
- 선수 자의로 인해 자동 기권한 선수를 공격할 경우
*주심의 판단과 재량에 따라 반칙 사항은 더 추가될 수 있다.

제 7 조 레프리 사인

- 레프리 사인은 '주의/경고/실격'이 있다. 주심은 해당 선수가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Call 사인을 줘야 한다.
- 경기 후 배심의 채점에서 양 선수가 동점일 경우, 주의/경고를 받은 선수가 불리하다.
*선수 대기실 및 장외에서 타 선수 및 세컨진에게 피해를 주는 일이 발생할 경우, 심판의 판단에 의해 경기 전 주의를 받을 수 있다.
*고의적, 악의적으로 경기를 방해하는 세컨진이 있을 경우, 주심이 '주의/경고'를 줄 수 있다.
- 반칙을 행한 선수는 주심에게 주의를 받는다. 다시 한번 반칙을 행해 또 주의를 받게 될 경우 '경고'로 간주되며 감점이 주어진다. 주심의 판단에 따라 '주의' 없이 바로 '경고'와 감점을 줄 수 있다.
- 그라운드 공방 상황에서 유리한 포지션을 잡은 선수가 반칙할 경우, 주의/경고 후 스탠딩에서 다시 경기를 진행한다.
- 그라운드 공방 상황에서 불리한 포지션에 놓인 선수가 반칙할 경우, 주의/경고 후 동일한 포지션에서 다시 경기를 진행한다.
- 스포츠맨십에 반하는 선수의 악의적이고도 고의적인 반칙 행위는 '주의/경고' 없이 바로 실격패 처리될 수 있다.
- 반칙을 당한 선수는 링닥터의 소견에 따라 적절한 회복 시간이 주어진다. 링닥터가 닥터 스톱을 선언하지 않은 경우에도, 선수가 부여된 시간을 초과하여 경기를 이행을 하지 않는다면, 해당 선수는 실격패로 처리된다
- 해당 선수가 경기에 불참하거나, 2KG 이상 계체 초과 실패 시, 패널티를 부여하고 실격패 처리한다.

제 8 조 배점 기준

- 모든 경기는 3명의 배심이 배점 기준에 따라 공정하게 판정한다.
- 블랙컴뱃 비긴즈 대회는 프로 대회에서 적용 중인 '10-point must scoring system'을 사용하여 배점한다. 즉, 각 라운드마다 승자가 반드시 있어야 하며, 라운드별 승자 선수에게는 10점, 패자에게는 9점 혹은 8점이 부여 된다.
- 배점기준 1순위는 상대에게 큰데미지를 주거나, 압도적인 타격 혹은 압도적인 그래플링 컨트롤를 가져간 경우 , 2순위는 효과적인 타격횟수(유효타), 테이크다운 횟수나 그래플링 컨트롤 시간(그라운드, 케이지 컨트롤 시간), 서브미션 캐치를 가져간 경우, 3순위는 어그레시브이다.
- 상대 선수에게 데미지와 임팩트를 주는 공격 및 파운딩은 공격 횟수가 적더라도 점수로 인정된다.
- 반칙을 제외한 공격기술로 상대방을 다운시킬 경우 점수로 인정된다. 단, 비긴즈 대회에서 다운이 발생할 경우 선수 보호 차원에서 빠른 스탑 선언이 내려질 수 있다.
- 유술, 레슬링 기술 등으로 상대방을 넘어뜨리고 등을 눕혀 유효 포지션/유리한 포지션을 3초 이상 점유한다면 그래플링 컨트롤 타임을 가져간 경우로 간주한다.
- 테이크다운을 성공하더라도 상대방을 3초 이상 눕혀 놓거나 컨트롤 하지 못하고 상대선수가 바로 일어난다면 큰 점수로 인정되지는 않으나, 유효타 1회에 준하는 점수로 인정된다. 단, 엉덩이를 찍거나 앞으로 넘어져서 중심 뺏기는 경우의 테이크 다운에만 적용되고, 상대방이 케이지에 기대어 등이 눕혀지지 않는 경우나 중심을 빼앗기지 않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아니한다.
- 테이크다운을 당한 상대선수가 일어나기 위한 움직임을 보여주지 않는 경우 이는 테이크다운 성공으로 간주한다.
- 그라운드 상황/클린치 상황에서 양 선수가 적극성이 느껴지지 않는 무의미한 공격과 공방을 이어갈 경우 주심이 스탠딩 상황으로 재 진행시킬 수 있다.
- 파운딩이나 서브미션으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 동선 포지션들을 유효 포지션으로 둔다. (마운트, 백마운트, 사이드, 남북, 터틀 포지션 등등) 유효 포지션 점유할 시, 점수가 주어진다.
- 그라운드 상황 시, 하위 포지션 방어자가 상위 포지션 공격자를 뒤집어 포지션 역전할 경우 점수가 주어진다.
- 적극적인 서브미션 시도 또한 점수가 주어진다.

제 9 조 승패 결정

1. 판정승
(1) 블랙컴뱃은 각 라운드별 점수를 채점한다. 더 많은 라운드를 가져간 선수가 승리한다. 만장일치 판정승, 스플릿 디시젼 판정승, majority 디시젼 판정승이 있다.
(2) 제 9조 배점 기준에 의거하여 최종적으로 더 높은 점수를 획득한 선수가 승리한다.
(3) 2라운드 혹은 3라운드 배점 이후, 무승부가 나올 경우 무승부 선언을 내린다.
- 링닥터와 의료진이 판단했을 때 선수가 경기를 계속 진행할 수 없을 정도의 부상일 경우, 주심은 닥터스탑을 선언할 수 있다.
- 상대 선수의 타격, 조르기, 관절기에 의해 탭아웃을 칠 경우 해당 선수의 승리로 경기는 끝이 난다.
- 상대 선수의 공격에 의해 선수가 쓰러져서 의식을 잃거나 어떠한 공격, 방어를 위한 움직임이 보이지 않고 무의미하다고 판단될 경우, 주심은 공격선수에게 승리를 선언한다. (KO승, TKO승이 있다)
- 경기 도중 양선수가 너무 부상이 심할 경우, 링닥터의 판단에 따라 경기 진행 여부가 결정된다.
- 상대방의 반칙에 의해 부상이 심할 경우, 주심은 반칙을 한 선수에게 반칙패를 준다.

2. 실격패
(1) 해당 경기에 참가하기로 한 해당 선수가 경기 시작 30분전까지 나타나지 않을 시, 해당 선수는 실격패 처리된다.
(2) 최종 계체 실패 후, 양 선수단이 협의가 되지 않을 경우 계체를 실패한 선수는 실격패 처리된다.
(3) 세컨진이 케이지 위로 올라와 상대 선수를 공격하거나 난동을 피울 경우, 해당 선수는 실격패 처리된다.

3. 기권승
(1) 케이지 밖으로 일부러 도망가는 경우 자동 기권으로 간주
(2) 세컨진이 타월을 경기 도중 케이지에 던지거나 시합을 중지시킨 경우
(3) 해당 선수가 경기 진행을 자의적으로 포기할 경우

4. 경기 무효
(1) 어떠한 불의의 사고로 경기가 취소되거나 경기가 중단될 경우
(2) 낭심 공격에 의해 경기가 더이상 진행이 불가한 경우
- 배심 판정 결과에 대해 동의가 되지 않거나, 불합리하다고 생각할 경우 경기 결과에 대해 이의를 대회사에 제기할 수 있다. 정확하고도 타당한 증거를 대회사에 제출하여 이의를 제기하도록 한다.